북한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대응해 우리 정부가 9·19 남북 군사 합의 일부 조항의 효력을 정지하자, 북한은 합의 파기를 선언하면서 향후 동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국회 정보위원회가 열렸는데, 이와 관련한 국가정보원의 보고가 있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유상범 / 국민의힘 의원] <br />정찰위성 발았과 관련해서 질의응답이 있었던 부분 중에서 중요한 부분에 대해서 먼저 말씀을 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정찰위성의 발사가 성공적이었고 위성이 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국정원은 파악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서 발사체 자체의 성공과 관련돼서 북한이 제3차 발사에서 궤도에 진입해 성공을 거둔 경위에 대해서 국정원은 먼저 김정은-푸틴 회담 당시 푸틴이 발사체 자체를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공개적으로 밝힌 점, <br /> <br />또한 푸틴 회담 이후 북한이 설계도 및 1, 2차 발사체와 관련된 데이터를 러시아에 제공하고 러시아가 그 분석 결과를 제공한 정황이 확인되어서 이 발사체의 성공은 러시아의 도움이 있었을 것으로 판단한다는 답변이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인공위성과 관련돼서 지금 북한에서는 괌 기지 사진까지 북한이 확인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마는 <br /> <br />지난 2차 정찰위성 발사 실패 시 수거한 잔해물을 분석한 결과는 당시에 탑재된 위성은 소위 정찰위성으로 가치가 있는 서브미터급이 되지 않는 위성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고 <br /> <br />인공위성의 발전 속도, 새로운 인공위성의 발전 속도는 통상 3년 정도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현재 북한이 괌 사진을 찍었다는 그 영상을 공개하지 않는 한 인공위성의 역량을 파악할 수 있는 상황은 되지 못한다고 답변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추가로 현재 북한의 고체연료 발사 기술과 관련된 질의답변이 있었는데 국정원에서는 현재 고체연료 발사 기술은 ICBM의 경우에는 개발 초기 단계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답변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제3차 정찰위성 발사와 관련된 중요한 내용이라고 판단되는 부분은 말씀드렸고 나머지 부분은 윤건영 의원이 필요한 부분을 추가 말씀을 드릴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[윤건영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 />정찰위성 발사와 관련해서 크게 두 가지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하나는 위성발사의 성공 여부는 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라는 거고요. <br /> <br />어떻게 그러면 5월에는 실패했는데 이번에 성공할 수 있었냐라는 부분은 조금 전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1123122022850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